Sorak/Sorak_Walking

[설악산] 잦은바위골

저산너머. 2011. 8. 18. 22:32



 

잦은바위골~칠형제릉~오십미폭~백미폭~희야봉 안부
설악좌골~범봉골~범봉 안부~노인봉
가야동~영시암



같이 산에 다니는 동생과 둘이서 오붓하게 설악을 찾았다.
속초고속터미널에서 만나 점심식사를 한 후 설악동으로...

원래 토왕폭~화채릉을 염두에 두었지만, 화채릉이 2박 일정이 나올 코스도 아니고, 화채까지 오르긴 약간 애매한 시간인데다, 어둑해지는 
시각에 토왕폭을 통과해봐야 제대로 감상도 못할테고, 그렇다고 제일 만만한 코스인 설악골은 더이상 지겹고 해서 잦은바위골로 급선회...

3시쯤 설악동에 도착.
일몰까지 산행시간이 그리 넉넉하지 않기에 곧바로 잦은바위골로 직행한다.
오늘의 보금자리는 칠형제릉의 도깨비 바위..
내일 다시 잦골 본류로 되돌아와야하는 약간의 불편이 있긴 하지만, 천불동 조망이 환상적인 그곳에서 하룻밤을 보내기로...


잦은바위골.
백미폭과 오십미폭으로 유명한 이 계곡은 설악에서도 몇손가락안에 꼽힐 험한 계곡이다.
특히, 계곡 중단부는 그 사이로 길이 나 있다는게 신기할 정도로 좁고, 깊은 협곡을 이루고 있다.

잦은바위골은 이번에 어떤 모습을 우리에게 보여줄까?




잦은바위골 초입부에서 휴식을 취하며...

잦은바위골의 첫폭포. 오른쪽 사면으로 우회해야 한다.

첫폭포 우회 사면. 2년전만해도 로프가 주렁주렁 있었는데, 말끔히 철거되었다.

잦은바위골의 명물인 촉스톤.
이곳부터 잦은바위골 특유의 깊은 협곡이 시작된다.
왼편 사면으로 올라야하는데, 이곳에 있던 가는 로프도 철거되었다.
이 곳 아래쪽 약간 애매한 턱바위의(우측 계류로 등산화를 벗고 건널 수도 있을..) 로프도 철거... 도대체 누가?

위에서 내려다본 촉스톤.

칠형제릉 하산로가 갈라지는 분기점. 철형제릉은 이곳 직전에서 왼쪽의 협곡을 따른다.

칠형제릉 하산 골짜기를 따라 오르다 내려다본 풍경. 오른편 암릉이 칠형제릉 하단부이다.


칠형제 하산로를 거슬러 오르고 있다.
도깨비바위로 직행하려고 했는데, 들머리를 놓쳐 칠형제 리지 완료지점 안부까지 거의 다 올라간 지점까지 진행해야 했다.
다음날 내려오다보니 도깨비바위 탈출로 계곡 합수점에 작은 돌탑이 있는데, 아마도 재작년 칠형제 리지 등반때 나중에 이정표로 삼는다고 내가
쌓아놓았던 것 같은데....ㅎㅎ
(하긴 도깨비바위로 직진하는 계곡 들머리는 짙은 수풀로 뒤덮힌데다, 실계곡 형태로 계곡이라는 느낌이 없어서 올라가면서 들머리 찾기는 쉽지 않다.)
도토리 숨겨 놓고는 못찾는 다람쥐가 생각나는....ㅋ

칠형제 하산로 계곡 상단부는 칠형제 리지 등반후 굳이 천불동 하류쪽 계곡인 잦은바위골을 포기하고, 용소골로 하산할 정도로 낙석 위험이 있는 
계곡이었지만, 그래도 시간이 흐르면서 어느 정도 안정화되가는 상태였는데, 중단부 오른쪽 사면에서 제법 규모가 큰 사태가 새롭게 진행되어
낙석 위험도 도로 높아진 것 같다.
조심 조심 이 구간을 통과한 뒤 칠형제 리지 종료 지점 안부 직전에서 왼쪽으로 살짝 방향을 틀어 칠형제 암봉 우회로를 따라 역으로 내려갔다.

도깨비 바위로 올라서자마자 몸이 휘청거릴 정도로 엄청난 강풍이 몰아친다.
칠형제 리지 상단의 암봉들을 우회해 내려올 때만해도 바람부는 기색이 전혀 없었는데, 이넘의 바람이 우리를 기다리기라도 했던건지.....

텐트를 치다가 텐트 고정시키기도 쉽지 않고, 밤새 펄럭거리는 소리때문에 잠 못잘 것 같아 텐트를 포기하고, 도깨비바위 아래쪽 침니에
간신히 자리를 잡았다.
바람이 얼마나 무섭게 불던지... 아래쪽에서 덜덜 떨며 둘이서 꼬옥 안고서 긴긴 밤을 보냈다는...ㅎㅎ

가끔씩 강풍이 침니로 파고들긴 했지만, 둘이서 맛있는 삼겹살 구워먹으며 오손도손 유쾌한 대화를 나누며.. 너무도 즐거운 밤이었다.



다음날 새벽 천화대 풍경. 범봉과 희야봉이 조망되고, 범봉 왼편으로 1275봉도 살짝...

칠형제릉의 도깨비 바위. 오른편으로 울산암이 보인다. 전날 거세게 몰아치던 바람이 잦아들고, 지극히 고요한 외설악의 풍경에 마음이 짠해진다.

칠형제 리지 상단부.

울산암과 집선봉.

발 아래로 귀면암이 내려다 보인다.

저 기막힌 자리를 포기하고, 비좁은 침니에서 보내야했다니...ㅠ

칠형제릉을 내려서기전 마지막으로 범봉을 한번 더 바라본다.

칠형제 하산로의 인상적인 협곡 풍경.

칠형제 하산로를 내려와 잦은바위골 본류 합수점에 다시 도착했다.

오십미폭 직전의 사면을 오르는 중. 왼사면을 오르자마자 곧바로 바위턱을 내려서 계곡을 건너 오른사면을 타고 오십미폭으로 접근해야 한다.

오십미폭.

오십미폭 아래 계곡.

최상단에서 내려다본 오십미폭.

오십미폭 상단에서 바라보는 칠형제릉 하단부는 거대한 성벽을 연상케 한다.

오십미폭 위쪽의 작은 폭포.

백미폭이 드디어 눈에 들어온다.


백미폭의 거대한 위용.
2단폭 구조로 상단이 40m, 하단이 60m이다.

그저 바라만봐도 므흣...^^
예상보단 수량이 적어 아쉽긴 했지만, 웅장한 면모는 변함이 없다.

돌이켜보면 범봉 등반후 저 곳을 하강하던 순간이 설악 산행의 한 정점이었던 것 같다.
다시 저 거폭을 하강할 날을 손꼽아 기다려본다.


백미폭 우측 지계곡의 실폭. 지계곡이라서 평상시엔 시원한 물줄기를 보기 힘들겠지만, 높이가 40~50m쯤 되는 멋진 폭포이다.


실폭포 우측 지계곡으로 우회한다.

원래는 100미폭을 우회한 뒤 다시 잦은바위골을 타고 범봉 안부까지 진행할 예정이었다.
사진상의 오른쪽 골짜기로 약간 우회하다보면 실폭포 오른편 지능선(실폭능선)으로 오르게 된다.

실폭능선에 오르기전 문득 바위로 완전히 막힌 부분이 있는데, 이곳에서 오른쪽 침니로 오르다 침니 중간에 배낭이 제대로 끼어버려 한동안
옴짝달싹 할 수가 없었다.
꽤 경사가 있는 침니인데다, 홀드가 불분명한 곳이라서 자칫 손을 놓칠 경우 그대로 추락할 수도 있는 상황..
침니에서 빠져나오려고 한참을 버둥거리다 한순간 젖먹던 힘까지 다하고나서야 간신히 빠져나올 수 있었는데, 나중에 배낭을 보니 커다란
구멍이 두군데나 뚫려 있었다.
얼마나 용을 썼었는지, 두군데 모두 접합 부위나 재봉 부분이 아닌 배낭 전면부 멀쩡한 부위가 말이다...ㅎㅎ

지능선에 도착해보니 길은 지능선 위아래로 갈라지는데, 지계곡 건너편 사면을 쭉 바라보니 치고 오르기엔 너무도 가파르게 보인다.
실폭포 상단으로 내려가기 귀찮은 생각이 들기도 하고, 중간 어디선가 왼편으로 백미폭 우회로가 나타날 것 같아 그대로 능선길을
따라 올랐다.
능선길 도중에 길은 계곡으로 떨어지는데, 아무리 올라도 좌측으로 갈림길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미 한참을 오른 뒤라서 결국 100미폭 우회는 포기하고, 그대로 계곡을 따라 오른다.

우리는 도대체 어디로 올라서게 되는 걸까?
중간중간 표지리본이 나타나는 걸 보면 분명 등산객의 발길이 있는 계곡이긴 한 것 같은데...
혹시 범봉 암봉군의 중간쯤, 어느 쪽으로도 오도가도 못하는 난감한 곳으로 오르게 되는건 아닌지...ㅠ
하긴 이 참에 핑계삼아 범봉 리지를 타는 것도 나쁘진 않을 듯하긴 하다...ㅎㅎ
보조자일밖에 없다는 점이 약간(?) 걸리긴 하지만.....

지금 생각하면 지능선 갈림길에서 실폭포 상단쪽으로 내려갔어야 했던 것 같은데.... 아니면 원래 길이란 없는 곳인지...
(나중에 백미폭을 우회해 내려온 분의 말씀을 들어보니 원래 길이 없는, 길을 만들어가야 하는 곳이라 한다. 하강을 세번쯤 해야하는.....ㅎㅎ
하산방향이라면 모를까 백미폭을 우회해 오르기는 쉽지 않을 듯...)


왼편 범봉 전봉(작은범봉) 우측으로 범봉 리지 1피치가 보인다.

거친 계곡을 따라 한참을 오르다 계곡 상단의 넝쿨지대를 피해 오른편으로 보이는 작은 능선(B) 안부에 올라 주변 지형을 살피니 범봉 1피치와
범봉 전(위)봉이 확인되고, 그 왼편으로 우람한 범봉의 뒷모습도 눈에 들어온다.
범봉이 그렇게 반가울 수가....
그 오른편에 있을 희야봉은 바위에 가려 보이지 않는다.

칠형제릉 중상단부에 늘어선 침봉군.

화채봉.

범봉 좌측의 거대한 암봉(A). 왼편으로 공룡릉 신선대가 구름에 휩싸여 있다.

우측 암봉이 범봉의 뒷면.

지도상의 C능선. 언뜻 천화대 본릉으로 착각하기 쉬운데, 천화대 본릉의 희야봉에서 흘러내리는 지릉이다.

희야봉의 석주 동판.

희야봉 안부에서 바라본 화채릉과 칠형제릉.

칠형제릉 하단부에 전날 올랐던 도깨비 바위가 보인다.

석주길과 세존봉.

범봉 리지 1피치.